Jeju & More Routes logo.

삼성혈

삼성혈 (지도)은 제주시 중심부에 위치합니다. “삼성혈”(삼족혈)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곳은 전설에 따르면 세 명의 반신이 땅에서 솟아 올라 제주의 고대 왕국 탐라의 시조가 된 곳입니다.

1964년에 사적 제134호로 지정된 삼성혈은 규모가 작고 걷기 좋은 유적으로, 제주 주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고고학적·정신적 장소 중 하나로서 섬의 건국 신화의 열쇠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세 반신 전설

삼성혈 전설은 제주의 문화와 고대 탐라 왕국의 탄생을 기록합니다.

4300여 년 전,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라는 세 반신이 섬 중앙 화산인 한라산 기슭의 세 구멍에서 솟아올랐다고 전해집니다. 가죽 옷을 입은 이들은 처음에는 제주 평야를 돌아다니며 사냥하고 섬에 터전을 마련하는 소박한 삶을 살았습니다.

어느 날 한라산 자락에서 동쪽 바다를 바라보던 반신들은 온평마을 근처 해안으로 떠내려오는 보라색 진흙으로 봉인된 나무 상자를 발견했습니다. 호기심에 상자를 따라가 개봉했습니다.

상자 안에는 보석 상자가 들어 있었고, 그 안에는 오곡의 씨앗과 가축, 그리고 바다 건너 신화 속 나라 벽랑국에서 보낸 세 공주가 있었습니다. 고귀한 청색과 자주색 의상을 입은 공주들은 사신과 함께 왔으며, 반신들과 혼인하여 번영하는 문명을 세우라는 명을 전했습니다.

반신들과 공주들의 결혼은 제주를 변화시켰습니다. 공주들은 가축과 씨앗뿐만 아니라 농업과 목축에 대한 지식도 가져왔습니다. 그들의 지도로 반신들은 사냥 중심의 생활에서 정착 농경사회로 전환했습니다. 이 변화는 제주도에서 체계적 문명의 시작을 상징하고 고대 왕국 탐라 건국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세 성씨의 기원

각 반신은 한 명의 공주와 결혼했으며, 이 결합에서 제주도의 세 주요 성씨인 고씨, 양씨, 부씨가 탄생했습니다.

이 성씨들은 탐라의 기둥이 되었고 오늘날까지 제주의 정체성의 일부로 남아 있습니다. 이들의 후손은 제사를 통해 선조인 반신과의 유대를 기리며 전설이 제주 유산의 살아 있는 일부로 계속 이어집니다.

상징성

삼성혈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유적 중 하나입니다. 하늘에서 신이 내려오는 일반적인 한국 창세 신화와 달리, 삼성혈 전설은 땅과의 연결을 강조합니다. 땅에서 솟아오른 반신들의 이야기는 한라산의 화산 활동으로 탄생한 섬의 창조를 반영합니다.

주요 요소

삼성혈 유적지는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여러 핵심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음을 살펴보겠습니다.

세 개의 구멍

삼성혈의 중심인 세 개의 구멍은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 반신의 탄생지를 상징합니다. ’품’자 모양으로 배열된 이 구멍은 이들을 향해 몸을 숙이는 듯한 고목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지역 전설에 따르면 비나 눈이 아무리 많이 와도 이 구멍에는 물이 고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삼성전 사당

삼성전 사당은 삼성혈의 영적 중심지입니다. 이곳에는 세 반신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다양한 제사의 중심이 됩니다.

이곳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 제사뿐만 아니라 겨울의 건시대제도 열립니다. 방문객들은 세 성씨의 유산과 제주의 역사에 대한 공헌을 기리는 세밀하게 설계된 내부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삼성문

삼성문은 삼성혈 성지의 입구를 나타냅니다. 이 문을 통과하는 것은 현실과 신화의 세계가 교차하는 공간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이 문은 한국 전통 건축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방문객에게 분위기를 조성하며, 유적 내에서 진행되는 안내 투어와 의식의 출발점이기도 합니다.

전시관

삼성혈의 전시관은 삼성혈 전설과 고대 왕국 탐라의 탄생, 그리고 고·양·부 씨 성씨가 제주의 역사에서 한 역할을 다시 들려줍니다.

방문객들은 유물, 모형, 체험 전시를 통해 섬의 신화와 유산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계절 의식

삼성혈은 탐라의 세 반신을 기리는 계절 의식이 계속되는 살아 있는 문화유적입니다. 매년 4월 10일 춘제와 10월 10일 추제는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에게 경의를 표하고, 12월 10일 건시대제는 탐라의 건국과 사냥 사회에서 농업 왕국으로 나아가도록 이끈 반신들의 역할을 기립니다.

의식은 정화, 봉헌, 기도의 순서로 진행되며, 지역 관원과 성씨 대표가 주관하고 고·양·부 씨 후손들이 상징적인 제물을 올립니다. 이를 통해 재생, 수확에 대한 감사, 그리고 제주 사람들과 그 선조 창건자 사이의 지속적 유대를 표현합니다.

방문 정보

  •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성로 22
  • 시간: 오전 9시 ~ 오후 6시
  • 입장료: 성인 4,000원; 청소년 2,500원; 어린이 1,500원
  • 시설: 주차장, 장애인용 보행로, 방문자 센터, 문화 해설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문화 해설 투어: 문화 해설사가 이끄는 가이드 투어는 유적의 신화와 중요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투어는 약 30분 정도이며 입장권에 포함됩니다.

주변

삼성혈은 제주시 도심 한가운데에 있습니다. 바로 길 건너에는 세 곳의 주목할 만한 명소가 있습니다.

신산공원

삼성혈 맞은편에는 신산공원 (지도)이 있습니다. 제주시 최대의 녹지 공간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의 개최를 기념하는 봉화를 비롯한 여러 기념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곳의 구불구불한 길을 걷다 보면 운동기구와 체육시설 사이에 1995년 10월 해방 50주년을 기념해 1,250개의 물품을 묻은 “제주 타임캡슐”과 미술 조각 설치물, 정부의 탄압에 맞서 싸운 한국전쟁제주 4·3 사건을 기리는 기념물도 볼 수 있습니다.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신산공원 서쪽 끝 삼성혈에서 조금 내려가면 1984년 개관한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지도)이 자리해 있습니다. 이곳은 제주도의 지질, 해양 생물, 민속 생활을 한곳에서 전시합니다. 용암 지형, 지역 종, 해녀 문화, 전통 도구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디오라마와 짧은 애니메이션을 갖춘 체험형 제주 체험관에는 2004년 제주 해변에서 발견된 길이 13 미터의 브라이드고래 골격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 시간: 09:00 ~ 18:00 (월요일 및 공휴일 휴관)
  • 입장료: 성인 2,000원; 청소년 1,000원

제주특별자치도 문예회관

신산공원 동쪽에는 도의 대표적인 공공 문화예술 복합시설인 제주특별자치도 문예회관 (지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대극장, 블랙박스형 소극장, 갤러리 공간에서 콘서트, 무용, 연극, 전시회를 개최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예술진흥원이 운영하는 이 센터는 1988년에 개관하여 지역 단체와 순회 공연의 거점 역할을 합니다.

대극장은 약 892석을 갖추고 회전·이동 무대와 오케스트라 피트를 갖춘 풀 오케스트라 공연을 지원합니다. 소극장은 70석 규모입니다. 또한 1·2 전시실을 임대하여 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