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ejeon City logo

자전거로 대전시부터 부여군까지

Buyeo City logo
한국의 제2 수도를 지나 역사의 현장으로.

금강 자전거길의 시작 구간은 대전광역시 최북단에서 출발해 동쪽으로 뻗어, 빛나는 신행정수도 세종시—대한민국의 새로운 제2 수도—를 관통합니다.

현대 도시의 반짝임을 벗어나면 길은 곧 역사와 만납니다. 공주시에서는 백제(기원전 18년 ~ 서기 660년)가 축조한 성곽을, 부여군에서는 고대 수도의 유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빠른 통계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길찾기
Google Maps Logo
Google Maps

대청댐에서 신탄진 지역까지

원격지에 자리한 금강 자전거길 동쪽 끝 대청댐에서 출발합니다. 한국 5대 도시 중 하나인 대전의 북쪽 끝을 따라, 강변의 식당과 카페를 스치며 금강을 따라 달려보세요.

시작점

금강 자전거길의 동쪽 기점인 대청댐 인증센터에 도착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대전·청주·세종과 가깝지만, 세 도시 모두 출발점까지 바로 가는 대중교통이 없기 때문입니다.

교통 옵션:

  • 세종시외버스터미널 (지도): 자전거길까지 800 m로 가장 가깝지만, 왕복 71.2 km를 달려야 합니다 (길찾기).
  • 오천 자전거길: 이곳에서 끝낼 경우 상류로 27 km 추가 주행, 왕복 54 km (길찾기).
  • 대전 출발: 대중교통 선택지는 많지만, 여전히 출발점까지 20 km 이상 자전거를 타야 합니다.
  • 청주 출발: 세종보다 가깝지만, 느린 시골길과 농로가 많아 까다롭습니다.

대청댐 업힐

대청댐 인증센터는 댐 위쪽 마당에 자리합니다. 이곳에 오르려면 1.7 km 동안 54 m 상승(평균 경사 3.18 %)해야 합니다. 급경사는 아니지만 금강 자전거길에서 기억에 남는 언덕입니다 (길찾기).

대청댐 인증센터

대청댐 인증센터 (지도)에서 라이드를 시작하세요. 대청호를 내려다보며 첫 스탬프를 찍고, 호수 건너편 전 대통령 별장 청남대 (지도)의 풍경도 감상해 보세요.

이제 코스의 첫 하이라이트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출발점으로부터 0km
Google Maps Logo
Google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카카오 맵스
Daecheong Dam​ certification center checkpoint stamp for Korea's Bicycle Certification system.
0 km (Geumgang Bike Path)
0%

대청댐은 대전과 청주 사이에 위치해 금강을 가로지르며, 대한민국의 주요 수자원 관리 인프라 중 하나로 기능합니다.

1980년에 완공된 이 댐은 소양호와 충주호에 이어 저장 용량 기준으로 국내 세 번째로 큰 인공 저수지입니다. 주요 목적은 홍수 조절, 생활·공업용수 공급, 수력 발전입니다.

대청댐은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 증가에 따른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추진된 4대강 수자원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습니다.

대청로 구간

댐에서 내려와 금강로하스대청공원 (지도)으로 진입합니다. 이 강변 공원에는 산책로, 피크닉 공간, 그리고 지역 미술 전시를 여는 대청문화전시관 (지도)이 자리합니다.

이어서 강을 따라 달리는 왕복 2차선 도로 대청로(지도)를 크루즈하듯 달려보세요. 길가엔 식당(지도)과 카페(지도)가 줄지어 있어 잠시 쉬어 가기 좋습니다.

대전광역시

지금 달리는 이곳을 잠깐 살펴볼까요?

소백산맥 사이로 금강이 흘러내리는 충적 평야에 안긴 대전광역시 (지도)는 인구 150만 명의 대한민국 6대 광역시 중 하나입니다. 국토의 중앙에 위치해 교통의 요지로 꼽히며, 서울에서 내려온 KTX 고속선이 이곳에서 남서·남동 방향으로 갈라집니다.

‘한국의 과학 수도’로 불리는 대전에는 KAIST, ETRI,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 밸리)가 있습니다. 울창한 대덕 계곡에 20여 개 국책 연구소와 40여 개 기업 연구소가 밀집해 박사급 연구원 약 1만 7천 명—국내 전체의 10 %가량—이 근무하며 국내 최고 수준의 특허를 쏟아냅니다.

도심을 가로지르는 갑천(지도)·유등천(지도)·유성천(지도) 등 하천을 따라 조성된 녹지와 자전거·보행 전용길도 풍부합니다. 차보다 빠를 때도 있는 이 길들은 금강 및 금강 자전거길과 바로 연결됩니다.

신탄진 지역

대청로를 따라 북쪽으로 달리면 대전의 변두리 신탄진(지도)에 닿습니다. ‘진(津)’이 나루터를 뜻하듯, 이곳은 원래 금강 강나루에서 시작해 경부선 개통과 함께 역이 생기며 성장했습니다. 이후 경부고속도로(1번) 나들목이 들어서 교통 요충지로 자리 잡았습니다.

동네의 상징 신탄진역(지도)은 1905년 지어진 역사(驛舍)를 그대로 간직하고, 인근 KT&G 신탄진 공장—세계 최대 규모 담배 공장 중 하나—의 노동자들과 약 1만 4천 주민을 연결합니다. 역 주변 거리는 매운 짬뽕집과 심야 포장마차로 유명해, 첫 새벽 무궁화호가 들어올 때까지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신탄진 지역에서 합강공원까지

금강의 초입 구간을 따라 공원, 그림 같은 다리들, 그리고 자연이 어우러진 시골 풍경 속을 달려보세요.

청주시

신탄진 지역을 벗어나 현도교 (지도) 아래를 지나고, 자전거 도로에서 교량 상판으로 이어지는 지그재그 경사로를 올라 금강을 건너세요.

강을 건너면 충청북도 청주시 (지도) 남쪽 끝에 도착하게 됩니다. 청주는 인구 약 73만 명의 도시로, 충북의 도청 소재지입니다.

강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면 현도오토캠핑장 (지도) 같은 농장과 녹지 공간을 지나게 되며, 물길 위에 흩어진 모래섬들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세종특별자치시

경부선 폐역인 매포역 (지도) 아래를 지나면 세종특별자치시에 진입하게 됩니다.

이 도시는 원래 서울이 DMZ에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수도 이전을 목적으로 개발된 계획도시입니다.

2012년, 정부는 세종시를 기존 농지와 조치원, 그리고 청주와 공주의 일부를 포함해 신설했습니다. 현재는 경제, 교육, 과학, 행정안전, 문화 등 주요 부처가 이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비록 수도 이전 계획은 철회되었지만, 세종시는 큰 변화와 함께 급속한 인구 증가를 겪었으며, 현재 약 39만 5천 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대표적인 명소로는 세종호수공원, 국립세종수목원, 그리고 세모꼴 형태의 국립세종도서관 등이 있습니다.

강변의 다리와 공원들

굽이치는 금강을 따라 시골 풍경 속을 달리며 부강생활체육공원(지도)을 지나세요.

이 목가적인 구간의 끝자락쯤에서, 인상적인 세 개의 다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 붉은 아치교 (지도): 전통적인 아치 형태로, 열차가 지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독특한 포인트입니다.
  • 금빛노을교 (지도): 길이 925m의 혼합 아치 구조물로, 보기 드문 2층 터널로 이어지는 다리입니다.
  • 아람찬교 (지도): 2016년 세종시 도시 개발의 일환으로 건설된 840m짜리 사장교입니다. 매의 날개를 형상화한 쌍탑형 주탑이 특징이며, 이름 “아람찬”에 담긴 자연과 새의 이미지를 반영합니다.

금빛노을교와 아람찬교 모두 합강공원 위를 지나며, 이곳은 금강 자전거길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입니다.

26 km (Geumgang Bike Path)
17.8%

합강공원은 세종시 금강과 미호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름 그대로 ‘강이 합류하는 곳’을 뜻하며, 캠핑과 휴식 명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금강과 미호천이 만나는 이곳에는 광활한 습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새, 어류, 토종 식물 등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합강공원은 대한민국 4대강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습니다. 2010년대 초 시작된 이 대규모 사업은 홍수 조절과 가뭄 시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다수의 보를 설치하고, 장거리 자전거길과 수변 공원들을 조성했습니다. 합강공원 역시 이 사업의 결과물 중 하나입니다.

합강공원에서 학나래교까지

세종시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호수 공원과 미래지향적 건축물을 지나고, 고속도로 사이에 숨어 있는 태양광 자전거 도로와 자전거 전용 지하 통로가 있는 웅장한 다리를 지나며 항해하세요.

미호천이 금강으로 흘러드는 합강공원에서 시작해, 계절꽃이 만발한 물가 공원을 따라 서쪽으로 자전거를 타세요. 멀리 전월산(지도)이 솟아 있습니다.

공원에서 약 1km 지점에서 농로가 자전거길(도로 뷰)과 갈라집니다. 그 길을 따라 미호천을 건너 2.8km를 가면, 금강 자전거길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인 합호서원(길찾기)에 도착합니다.

27.2 km (Geumgang Bike Path)
19.2%

합호서원은 세종시에 위치한 보존 상태가 뛰어난 중요한 역사적 유교 서원입니다.

1716년 숙종 재위 기간에 건립되어, 성리학을 한국에 도입한 것으로 알려진 저명한 학자 안향(1243~1306)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한국 최초의 성리학자로 평가받는 안향은 원나라에 사신으로 가던 중 주희의 주자전서를 필사하여 한국에 들여왔습니다. 그의 노력은 이후 한국 왕조들의 사상적·행정적 틀을 형성하는 지적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금강보행교

금강으로 돌아와 5km를 더 달리면 금강보행교(지도) 아래를 지나게 됩니다—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보행자 전용 다리입니다. 2022년에 개통했으며,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상·하 분리형 통로, 110미터의 경간, 20개가 넘는 휴게시설을 갖추고 있어 세종시의 466킬로미터 자전거·보행 네트워크에 기여합니다.

강을 따라 1킬로미터를 더 내려가세요. 왼편에는 세종 남측 강변의 고층 건물들이 있고, 강 건너편에는 대한민국의 제2 수도인 세종의 번화한 중심부가 있습니다.

곧이어 작은 다리가 재천(지도)을 가로지릅니다. 상류로 1.2킬로미터를 올라가 금강 자전거길의 하이라이트인 세종호수공원을 탐방하고, 세종의 미래적인 정부청사 단지를 방문하세요.

33.7 km (Geumgang Bike Path)
23.1%

세종호수공원은 세종시의 중심에 자리한 대표 명소입니다. 2013년에 개장했으며, 면적 697,246㎡로 국내 최대 규모의 인공호수입니다. 이곳은 친환경적인 환경 속에서 휴식, 교육, 문화 체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공원은 다양한 생태계를 품은 산책로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으며, 세종국립도서관의 현대적인 건축물 등 세종시의 행정·문화 명소와 인접해 있습니다.

세종호수공원은 단순한 휴식 공간을 넘어 도시 생태 설계의 모델이자,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세종시의 의지를 상징하는 공간입니다. 이곳은 여가, 문화, 환경 보전을 통합적으로 구현하고 있습니다.

금강 자전거길로 다시 올라타세요. 앞으로 나아가면 몇 개의 다리가 금강을 가로지릅니다. 첫 번째는 금남교(지도)입니다.

시간 여유가 있다면, 또 다른 우회로를 떠나보는 건 어떨까요?

금남교를 건너 금강 남쪽으로 이동한 뒤, 세종고속버스터미널을 지나 1.7킬로미터를 직진하세요(길찾기). 그러면 *노을로에 도착하게 됩니다.

이 도로는 중앙에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차로가 있으며, 차량 도로와는 가드레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안전합니다. 위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친환경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이 길은 금강 자전거길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대전 도심으로 연결되는 관문 역할도 합니다.

34.2 km (Geumgang Bike Path)
23.4%

북유성대로는 대전과 세종시를 연결하는 8.78km 길이의 도로로, 국도 1호선 일부입니다.

이 도로에는 4.6km 길이의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으며, 상단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연간 약 2,200MWh의 전력을 생산합니다. 이는 약 6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합니다.

2012년 개통된 이 도로는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도시 인프라를 상징합니다.

한두리대교

2012년에 완공된 한두리대교(지도)는 높이 100미터의 3차원 곡선형 원형 콘크리트 주탑으로 쉽게 식별됩니다. 이는 한국 최초의 구조 형식입니다.

원래는 금강2교로 불렸으며, 세종시 개발 이후 개통된 두 번째 주요 금강 횡단 교량이었습니다.

‘한두리’라는 이름은 한과 두리를 결합한 것으로, 주탑의 크기와 상징적인 원형 형태를 모두 반영합니다. 이 원형은 돛을 닮아, 한때 금강을 오가던 전통 배를 상징합니다.

세종시가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출범하며 건설된 7개의 주요 교량 중 가장 큰 다리로, 차량 6차선, 자전거 도로, 보행로를 모두 갖추고 있으며, 총 길이는 880미터, 이 중 340미터는 사장교 구조입니다.

세종보 인증센터

한두리대교 아래를 지나 500미터 정도 페달을 밟으면, 높은 제방 위에 자리한 K-water 세종보 관리사무소(지도)에 도착합니다.

그곳으로 올라가는 나무 계단 아래에는 세종보 인증센터(지도)가 있으며, 이는 금강 자전거길의 두 번째 스탬프 부스입니다.

출발점으로부터 37km
Google Maps Logo
Google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카카오 맵스
Sejong-bo​ certification center checkpoint stamp for Korea's Bicycle Certification system.

세종보

강이 굽이도는 구간을 따라 계속 달리면, 인증센터의 이름이기도 한 세종보(지도)에 도착합니다.

이 보(Weir)는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다른 보들과 달리, 350미터 길이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외형 구조는 없습니다.

북쪽 끝에는 발전 시설이 들어선 대형 건물과, 강 수면 아래로 잠겨 있는 낮은 콘크리트 제방이 있을 뿐입니다. 현재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이며,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환경단체의 반대로 운영이 중단되었습니다.

36.2 km (Geumgang Bike Path)
24.8%

학나래교(금강1교)는 세종시에 위치한 케이블 교량으로, 금강을 가로지릅니다. 2012년 6월 개통되었으며, 차량과 자전거 모두 통행이 가능합니다. 총 길이는 740m입니다.

“학나래”는 희망과 비상을 상징하는 ‘학’에서 따온 이름으로, 다리의 V자형 주탑 4개가 학이 날갯짓하는 형상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앞의 세 명소와는 달리, 학나래교는 우회로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이 다리는 자전거길의 일부 구간입니다.

다리를 건너기 위해서는 먼저 다리 아래로 진입한 뒤, 지그재그 경사로(스위치백 램프)를 올라가세요. 그러면 차도 아래에 위치한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차선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전용 차선을 따라 금강 남쪽 강변으로 이동하면, 자전거길의 다음 구간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학나래교에서 공주 도심까지

한국의 건국 왕국들 가운데 하나의 옛 수도였던 공주시에 들어서며, 금강의 전원적인 시골 풍경을 처음 맛보게 된다. 길을 따라 숲, 고고학 박물관, 그리고 고대 산성을 지난다.

불티교

학나래교에서 금강 남쪽으로 내려선다. 강변의 작은 녹지인 숲뜰 근린 공원(지도)을 지나, 금강교(지도) 아래를 지난다.

넓은 강굽이를 따라 3.4킬로미터를 달리면, 새빨간 트레슬 구조의 불티교(지도)가 눈에 들어온다.

2002년에 완공된 길이 420미터의 이 다리는 한때 인근에서 운영되던 역사적인 불티나루 나루터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 이름은 인근 화치진 나루와 바로 하류의 맨바위 절벽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다리 아래를 지나 루프로 돌아 본 데크로 올라간다(도로 뷰).

건너기 전에 표지판을 확인하자. 금강수목원 & 숲을 가리키고 있는데, 잠깐 우회할 만한 금강자전거길의 하이라이트다.

42.9 km (Geumgang Bike Path)
29.4%

금강수목원과 금강자연휴양림은 대전과 세종시 사이 금강 변에 위치해 있습니다. 금강자전거길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숲길 산책, 희귀 식물 감상, 금강의 전경을 즐기고 싶은 방문객들에게 한적한 휴식처를 제공합니다.

금강수목원은 금강자연휴양림 안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2,600여 종이 넘는 식물을 보유한 식물 애호가와 자연 사랑이들의 안식처입니다. 테마별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토종 수목부터 이국적인 식물까지 다양한 식생을 탐방할 수 있습니다.

금강자연휴양림은 계룡산 자락이 금강과 맞닿은 지점에 있습니다. 잘 관리된 이 공간은 보호된 녹지를 배경으로 캠핑과 등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공주시

우회를 마친 후, 불티교를 건너 금강의 북쪽으로 이동하고 잔잔한 강변을 따라 달린다.

2킬로미터 후, 백제의 옛 수도였던 공주시(지도)에 들어선다 (기원전 18년 ~ 서기 660년). 이 역사적인 도시는 공산성과 무령왕릉 같은 유네스코 지정 유적지로 잘 알려져 있다. 무령왕릉은 1971년 발굴 당시 완전한 형태로 발견되었다.

도시 경계를 막 지나면, 자전거길은 갑자기 경사진 구간으로 접어들며 석장리박물관 옆을 지난다. 이곳은 발굴지이자 금강 자전거길의 또 다른 하이라이트다.

47.5 km (Geumgang Bike Path)
32.5%

충남 공주시에 위치한 석장리박물관은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 문화를 조명하는 공간입니다.

이 박물관은 석장리 구석기 유적 발굴을 기념하여 설립되었으며, 구석기인의 도구와 생활상을 생생하게 재현합니다.

1964년 손보기 교수의 발굴팀이 이곳에서 도구와 유물을 발견함으로써 한반도 구석기인의 존재를 입증하였습니다.

박물관을 지난 뒤 강변 자전거길로 돌아와 금강을 따라 4km 더 달리세요. 공주 도심에 가까워지면 인근에 식당(지도), 숙박시설(지도), 그리고 공주종합버스터미널(지도)을 찾을 수 있습니다.

금강신관공원

자전거길 아래에는 금강신관공원(지도)이 있다. 이 강변 공원은 3.7킬로미터 길이의 산책로, 체육 시설, 포토존 등을 갖추고 있다.

매년 9월 말에서 10월 초 사이 9일 동안, 이곳에서는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문화유산 축제 중 하나인 백제문화제가 열린다. 이 축제는 고대 백제 왕국을 기념하며, 역사 재현 행사와 등불 퍼레이드로 구성된다.

공원과 자전거길에서 강 남쪽을 바라보면 언덕이 보인다. 그곳에는 공산성의 성벽과 정자 일부가 남아 있으며, 이는 이 노선의 주요 하이라이트 중 하나이다.

55.4 km (Geumgang Bike Path)
38%

금강을 굽어보는 공주 공산성은 백제(기원전 18년~서기 660년)의 탄력성과 지혜를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이 역사 유적은 당시의 전략, 문화, 건축 발전상을 잘 보여줍니다.

백제 시대에 흙으로 처음 축조된 이 성곽은 조선 시대에 돌로 보강되며 수세기에 걸친 군사·행정 기능의 변화를 반영했습니다.

백제 시절 웅진성으로 불렸던 공산성은 단순한 군사 요새를 넘어, 끈질긴 생존력과 적응력을 상징하는 장소였습니다.

공산성을 방문하고 싶다면?

북쪽 강변을 따라 계속 자전거를 타다 보면 작은 회색 트레슬 교량—역시 금강교(지도)라 불리는 다리에 도달하게 된다. 지정된 자전거 전용 차선을 따라 다리를 건너면 공주의 활기찬 도심 중심부로 들어선다.

200미터만 더 가면 공산성의 매표소와 입구(지도)에 도착하게 된다.

공주 도심에서 백제보까지

두 백제 시대의 중심지를 잇는 여정. 물과 간식을 미리 충분히 준비하자. 기술적으로 어렵지는 않지만, 길고 중간에 마을이 거의 없는 구간이다.

공산성 정문에서 출발해 왕릉로(지도)를 따라 조심스럽게 시내 중심부를 내려간다.

배가 고프거나 피곤한가? 근처에서 식사할 곳(지도)이나 숙소(지도)를 찾아보자—곧 이어질 장거리 주행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왕릉로를 약 1킬로미터 달리면, 녹지를 둘러싼 낮은 돌담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길모퉁이에는 검은색 외벽과 지오데식 돔이 얹힌 건물이 보이는데(도로 뷰), 이곳이 바로 이번 코스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인 무령왕릉의 입구이다(항공 뷰).

56.5 km (Geumgang Bike Path)
38.7%

공주에 위치한 무령왕릉은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 중 하나입니다. 백제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된 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고대 백제의 문화, 예술, 그리고 국제적 교류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무령왕(재위 501~523년)은 한국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왕국 중 하나였던 백제의 제25대 왕입니다. 1971년에 발견된 이 무덤은 1,5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도굴되지 않아, 다양한 유물과 건축적 세부 요소가 탁월하게 보존되었습니다.

공주한옥마을

공주 도심을 계속 지나 무령왕릉 입구에서 우회전하여 낮은 언덕을 넘어 다시 금강 쪽으로 향한다.

언덕 아래에는 2010년 세계대백제전에 맞춰 조성된 공주한옥마을(지도)이 있다. 이 마을에는 기와집과 초가집을 포함해 50채 이상의 한옥이 있으며, 전통 목재 기둥과 온돌(구들)을 갖추고 있다.

방문객은 다도 체험, 전통 혼례 재현, 백제 스타일의 밤과자 만들기 등을 즐길 수 있다. 숙박시설은 기본형 객실부터 가족 단위 스위트룸, 전용 히노끼 욕조가 있는 고급 객실까지 다양하다.

마을에는 숙박객을 위한 현대식 편의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입구 근처에는 편의점과 여러 한식당(일부는 오전 8시부터 조식 제공), 그리고 금강 온천수를 이용한 무료 족욕탕이 있다.

한옥 마당 사이로는 구불구불한 오솔길과 꽃 정원이 이어지며, 그 끝에는 그늘진 정자, 바비큐장, 소규모 수공예 상점, 그리고 공주의 마스코트 곰아곰 포토존이 있다.

전통 공예 체험이나 한복 대여 같은 문화 워크숍도 인근 작업실에서 계절에 따라 운영된다.

국립공주박물관

강으로 다시 진입하기 전에, 국립공주박물관(지도)으로 짧게 우회해 보자. 공주한옥마을 바로 옆에 위치한 이 박물관은 백제 시대의 유물 수백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무령왕과 왕비의 부장품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주요 전시물로는 금관, 무기류, 명문 기와, 왕릉 석실 모형 등이 있으며, 전시는 간결하게 구성되어 있어 라이딩 중 잠시 들르기에도 부담 없다. 입장료는 무료다.

박물관 뒤쪽에는 ‘사마왕 숲길’이라는 산책로가 정지산으로 이어진다. 정지산은 웅진백제 시기의 제사 유적으로, 능선에 오르면 공산성과 금강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공주보 인증센터

한옥마을을 지나 자전거를 계속 타면 아트센터 고마(지도)에 도착한다. 이곳은 공주의 전설적인 곰 설화에서 이름을 딴 예술 및 공연 공간이다.

이후 강변 공원을 따라 주행하면 산책로와 36홀 규모의 골프장이 펼쳐진다(지도).

앞쪽 강 위로는 금색 지붕을 얹은 공주보의 탑들이 눈에 들어온다. 본격적으로 이 구조물을 살펴보기 전에, 하류 쪽 주차장에 위치한 빨간색 스탬프 부스를 먼저 확인하자. 이곳이 바로 공주보 인증센터(지도)다.

이제, 공주보를 자세히 살펴보자.

출발점으로부터 56km
Google Maps Logo
Google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카카오 맵스
Gongju-bo​ certification center checkpoint stamp for Korea's Bicycle Certification system.

Now, let’s take a look at the weir.

58.4 km (Geumgang Bike Path)
40%

공주보는 홍수 방지, 수질 개선, 그리고 한국 주요 하천의 친수 공간 조성을 목표로 한 4대강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에 완공되었습니다. 금강 위에 세워진 길이 280m의 이 구조물은 공학과 여가 기능을 결합한 시설입니다.

공주보는 수위 조절과 계절별 홍수 완화를 위해 고정식 수문과 가동식 수문(승강식 수문, 플랩 게이트)을 함께 사용합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연중 농업 용수, 도시 생활용수, 생태 서식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방아달고개

강변 공원을 따라 주행을 계속하면 이 노선에서 몇 안 되는 오르막 구간 중 하나인 방아달고개에 도달한다. 총 2킬로미터에 걸쳐 36미터를 오르는 평균 경사도 1.8%의 완만한 고개다(길찾기). 그리 어렵지 않다.

오르막 중간쯤에서는 뒤를 돌아보자. 도시와 산 사이에 자리한 금강과 공주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멋진 전망이 펼쳐진다.

긴 구간

고개를 내려오면 다시 강변으로 접어들고, 외딴 시골 구간을 따라 장거리 여정이 시작된다.

이후 20킬로미터(길찾기) 동안은 거의 순수한 농촌 풍경 속을 달리게 된다.

농가와 외딴 거점은 지나지만, 상점이나 숙박시설은 거의 없다. 출발 전에 반드시 식수와 간식을 충분히 준비하자.

부여군

긴 구간의 중간쯤에서 부여군(지도) 경계에 들어선다.

고대 백제 왕조는 서울(한성)과 공주(웅진)에서 철수한 뒤, 538년부터 660년까지 이곳 부여를 마지막 수도 사비로 삼았다.

그 황금기 동안 사비는 교역 중심지로 번성하며, 금동 공예와 불교 문화를 중국과 일본에 수출했다.

백제는 결국 신라-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했지만, 그 유산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부소산성의 흙으로 쌓은 성곽, 그리고 정림사 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은 그 대표적인 예다. 이 석탑의 기단에는 백제의 패배를 기념하는 당나라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백제보 인증센터

긴 구간의 끝자락쯤에서 높은 제방이 나타난다. 그 위에는 금강을 가로지르는 또 하나의 수문이자 금강 자전거길의 하이라이트인 백제보를 내려다보는 전망탑(지도)이 자리하고 있다.

구조물을 둘러보기 전에, 먼저 제방을 따라 27미터 위로 올라가 보자. 그곳에는 작은 편의점을 갖춘 백제보문화관(지도)이 있다.

문화관 바로 앞 로터리에는 빨간색 스탬프 부스가 있다. 이곳이 바로 백제보 인증센터(지도)다. 자전거 여권을 꺼내 도장을 찍자.

출발점으로부터 80km
Google Maps Logo
Google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카카오 맵스
Baekje-bo certification center checkpoint stamp for Korea's Bicycle Certification system.
84.5 km (Geumgang Bike Path)
57.9%

백제보는 부여군과 청양군 사이 금강에 위치하며, 대한민국의 대규모 4대강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습니다. 이 보(洑)는 수위 조절, 농업용수 공급, 수력 발전, 생태 보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백제보의 건설은 2009년 10월에 시작되어 2011년에 완공되었으며, 2012년 6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다목적 시설로 설계된 백제보의 총 건설 비용은 2,800억 원에 달했습니다. 금강의 유량 조절뿐 아니라 농업용수 확보와 여가 공간 제공을 목표로 건설되었습니다.

백제보에서 부여 도심까지

부여군의 중심부로 짧은 여정을 떠나보자. 이곳에서는 고대 백제 시대의 성곽, 궁궐 유적, 그리고 대규모 박물관 등 역사적 보물들을 만날 수 있다.

백제보에서 출발해 금강을 따라 이어진 수변 공원 네트워크를 달리며 부여 도심을 향해 내려간다.

1킬로미터쯤 지나면 백마강교(지도)에 도착하게 된다. 이 다리는 금강 북쪽으로 이어지며, 여기서 두 가지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 지름길: 다리를 건너지 않고 직진해 곧장 부여 도심으로 진입한다 (길찾기).
    • 이 루트는 2킬로미터를 절약하고, 백제문화단지와 백제교 두 곳을 지나치게 되지만, 대신 낙화암과 부소산성에 더 가까워진다.
    •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인증 도장은 놓치지 않는다.
  • 공식 경로: 백마강교를 건너 금강 북쪽으로 향한다.

공식 경로를 따라가 보자.

다리를 건넌 후(도로 뷰), 자전거길은 진입램프를 감아 돌며 다시 수변 공원 옆으로 내려간다(도로 뷰).

하지만 시간이 충분하다면, 이 스위치백 경로를 따르지 말고 대신 도로를 따라 35미터 고지 위로 올라가자.

도로를 가로지르는 거대한 나무문 아래를 지나면, 백제문화단지에 도착하게 된다.

이곳은 백제 시대 수도를 재현한 대규모 복원 도시로, 금강 자전거길의 주요 하이라이트 중 하나다.

85.3 km (Geumgang Bike Path)
58.4%

백제문화단지는 부여군에 위치한 3.3㎢ 규모의 역사 테마파크로, 백제 왕국의 웅장함을 재현합니다. 한국 최대의 문화 복원 프로젝트로, 고대 한반도의 가장 영향력 있는 왕국 중 하나였던 백제의 건축, 전통, 생활상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백제문화단지는 백제(기원전 18년~서기 660년)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기념하기 위한 국가적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습니다.

동아시아 문화에 끼친 백제의 중요한 기여를 인정하여, 정부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부여군을 1993년 역사 보존 핵심 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1994년 착공을 시작해 2010년 세계대백제전을 맞아 개장했습니다.

금강을 따라 계속 자전거를 타며 백마강 레저공원(지도)을 지나간다. 이곳은 가족들이 텐트나 카라반을 치고 강가에서 여유를 즐기는 장소다.

이 지역을 벗어나기 전에, 강 건너편에 펼쳐진 낮고 푸른 산을 바라보자. 그 산에는 금강 자전거길의 세 가지 주요 하이라이트가 자리하고 있다.

88 km (Geumgang Bike Path)
60.3%

부여군을 흐르는 이 16킬로미터 구간의 금강은 고대 이름인 백마강으로도 불린다. 호암마을 천정대에서 시작해 반조원 마을까지 이어지며, 완만한 굽이와 비옥한 범람원, 그리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풍경으로 유명하다.

강 건너편을 바라보면 높이 94미터의 부소산(지도)이 우뚝 서 있다. 그 서쪽 절벽에는 전설의 절벽 낙화암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백제가 660년에 멸망했을 때, 삼천궁녀가 이 절벽에서 몸을 던졌다고 전해진다.

부소산에는 또한 부소산성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성은 1963년에 사적 제5호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에는 유네스코 백제역사유적지구에 등재되었다.

이 산성은 백제의 전략적·문화적 역량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538년 성왕 때 축조되었으며, 이는 신라와 당나라의 침략에 대응해 수도를 공주에서 부여로 옮긴 것을 의미한다.

참고: 앞서 소개한 백마강교 근처의 대체 경로(길찾기)는 부소산의 후면으로 접근해 부소산성과 낙화암에 직접 연결되는 길이다.

공원과 사찰

금강의 북서쪽 강변을 따라 자전거를 계속 타자. 칠지공원(지도)을 지나면, 통일신라 시대(668–935년)에 창건된 청룡사(지도)에 도달한다. 이 절은 한때 두 개의 청동불상을 모시고 있었으며, 현재는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백제교 & 백제교공원

부여 도심 외곽으로 들어서며 부산(지도)을 돌아 나가면, 멀리 아치형 금속 구조물이 돋보이는 다리가 보인다.

그것이 바로 백제교(지도)다. 일반 차량 전용 교량과 달리, 이 다리의 절반은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 전용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 구간은 나무나 잔디는 없지만, 백제교공원으로 알려져 있다. 벤치와 수로 전망이 마련되어 있으며,

밤이 되면 교량 표면을 따라 내장된 조명이 다채로운 색으로 불을 밝힌다.

자온대

부산을 돌아 부여군 도심 외곽으로 들어갑니다.

멀리서 금속 아치가 우아하게 뻗은 다리가 보이면, 그곳이 바로 백제교(지도)입니다. 대부분의 차량 전용 교량과 달리, 백제교의 절반은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구간은 나무와 잔디는 없지만 ‘백제교공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벤치에 앉아 수로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밤이 되면 다리 표면에 매립된 조명이 다채로운 빛을 뿌립니다.

금강 건너편 강둑을 향해 다리 위에서 남서쪽을 바라보면 자온대(지도)라 불리는 거대한 바위가 보입니다.

높이 20m에 이르는 이 바위에는 전설이 깃들어 있습니다. 백제 시대 의자왕이 왕흥사(현재 부여 시내에 있었으나 소실된 사찰)로 가는 길에 이곳에서 쉬었다고 전해집니다. 당시 왕이 도착하면 바위가 저절로 따뜻해졌다고 하여 ‘스스로 따뜻해지는 대’라는 뜻의 자온대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또한 학자 송시열(1607~1689)이 바위에 ‘自溫臺’라는 한자를 새겼다고 전해집니다.

바위 위에는 수북정(지도)이 자리하고 있어, 강과 백제교를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부여 도심

이제 백제교를 건너 부여 도심 중심부로 진입하자.

이 구간은 금강 자전거길의 마지막 구간으로, 다음 여정은 이 문화와 문명의 중심지를 뒤로하고 남쪽으로 이어진다.

다시 출발하기 전에, 이곳에서 식사(지도)를 하거나 휴식을 취하고(지도), 필요하다면 부여시외버스터미널(지도)을 통해 이동을 마무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만약 여유가 있다면—부여에는 아직 더 볼 것이 남아 있다.

공주 곰아나루

백제교 끝지점에서 다리 아래로 내려가자 (도로 뷰). 북쪽으로 약 2킬로미터를 달리면 (길찾기), 구드래조각공원(지도)을 지나게 된다. 이곳에는 야외에 전시된 59점의 조각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그 끝에는 구드래나루(지도)가 있다. 여기서 전통 스타일의 돛단배인 황포 닷배를 타고 백마강 유람을 즐길 수 있다. 이 닷배는 백제 시대 배를 현대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길이 약 20미터에 최대 47명까지 탑승 가능하다.

3.5킬로미터 왕복 코스를 따라 부여의 강변 풍경이 펼쳐지며, 낙화암과 부소산을 강 위에서 감상할 수 있다.

배를 타지 않을 생각이라면? 백제교에서 계백로를 따라 직진하자 (길찾기). 1.7킬로미터만 가면 바로 국립부여박물관에 도착하게 된다. 이곳은 금강 자전거길의 주요 하이라이트 중 하나다.

92 km (Geumgang Bike Path)
63%

국립부여박물관은 백제의 문화유산, 특히 수도가 한성(현재의 서울)에서 금강 유역인 부여로 옮겨졌던 사비 시기(538~660년)의 유물을 중점적으로 전시하고 있다.

이 박물관의 기원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 설립된 부여고적보존회로, 지역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민간단체였다.

박물관 바로 인근에는 정림사지와 그 중심인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있으며, 이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종종 ‘백제탑’이라 불리며, 백제의 아름다움과 건축기술을 대표하는 최고 수준의 석탑 중 하나다.

7세기경 지역 화강암으로 제작된 이 탑(높이 8.3미터)은 목조 건축 양식을 본뜬 우아하게 치켜 올라간 처마로 유명하다.

이 석탑은 이후 한국 석탑 양식의 전범(모범)이 되었다.

백제-당 전쟁 당시 전투로 인한 손상을 입었으며, 북면에는 당나라 승리를 칭송하는 한자 비문이 아직 희미하게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탑은 또렷한 선과 원형 비율을 유지하고 있어 국보 제9호로 지정되어 있다.

시간이 더 있다면? 부여 도심을 따라 1킬로미터 북쪽으로 이동해 보자 (길찾기). 식당들이 둘러싼 넓은 빈 터(지도)가 눈에 들어오며, 그곳이 바로 관북리 궁궐터(지도)다.

이 궁궐은 538년 백제가 공주에서 부여로 천도했을 때 조성된 행정 및 의례 중심지로, 수도 사비의 정치적·문화적 위상을 상징한다.

터는 부소산성 기슭에 자리 잡고 있어, 산성과 함께 백제 수도의 핵심 구조였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