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로 곡성군으로부터 광양시까지

Gwangyang City Logo
산골 절 아래를 지나 대한해협에 상륙한다.

섬진강 자전거길의 하반부는 곡성군(지도)에서 한반도 남단에 가까운 광양시(지도)까지 섬진강(지도)을 따라 이어집니다.

이 경로는 산 정상의 사원, 두 가지 색의 다리, 벚꽃으로 뒤덮인 마을, 캠핑카가 점점이 늘어선 전원적인 강변 등 그림 같은 풍경과 독특한 명소들을 지나갑니다.

빠른 통계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길찾기
Google Maps Logo
Google Maps

호잉당 정자에서 압록 마을까지

역사적인 정자에서 출발하여 섬진강을 따라 옛 철길을 따라갑니다. 기차 테마 놀이공원, 레일바이크 코스, 철도 마을, 그림 같은 현수교를 지나게 됩니다.

호잉당 정자에서 출발하여 섬진강을 따라 계속 내려갑니다. 농가 옆 제방 위를 따라 달리며, 가운데에는 초록빛 풀숲이 얹힌 퇴적 섬들이 물길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약 3킬로미터 정도 가면 길가 나무들이 줄지어 선 구간에 들어섭니다. 고달천(지도)을 건너면 갈림길(도로 뷰)이 나타납니다. 이 갈림길은 경사로를 따라 내려가 수면 위에 놓인 고달리잠수교(지도)를 지나게 됩니다.

시간 여유가 있다면 다리를 건너 전라선(전라선)을 지나 2.5킬로미터 가면 섬진강 자전거길에서 가장 테마가 뚜렷한 명소 중 하나인 섬진강 기차 마을(길 찾기)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62.1 km (Seomjingang Bike Path)
41.7%

전라남도 곡성군에 위치한 섬진강기차마을은 역사적인 곡성역과 폐선된 전라선을 중심으로 조성된 철도 테마공원입니다.

증기기관차 탑승 체험, 레일바이크, 수천 송이 장미가 피어나는 장미공원 등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1933년에 건축된 곡성역은 20세기 전반 철도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역사로, 지역의 상징적 랜드마크입니다.

전라선

전라선 얘기가 나온 김에, 이 철도 노선은 곡성군에서부터 섬진강 자전거길과 맞닿기 시작하여 구례군까지 그 경로를 바짝 따라갑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라선은 전라북도 익산에서 출발하여 전라남도 여수까지 이어집니다. 코레일이 운영하며 총 길이는 180킬로미터로, 전주, 남원, 곡성, 순천 등 전라권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서남부 교통의 핵심 축입니다.

1930년 일제강점기에 처음 개통된 이 노선은 현대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고속열차 KTX도 운행되고 있습니다.

서쪽 강변? 동쪽 강변?

관광을 마쳤다면 이제 자전거 여정을 계속할 차례입니다. 선택지는 두 가지입니다.

  • 섬진강 서쪽 강변을 따라가면 잘 정비되고 보호된 자전거 도로(도로 뷰)를 따라 달릴 수 있습니다. 이 경로는 독특한 철쭉길(지도)을 지나며 전라선 철도와 역 근처를 가까이에서 지나갑니다.
  • 또는 고달리잠수교를 다시 건너 섬진강을 넘어가 공식 자전거길을 계속 따라갈 수도 있습니다.

어느 쪽을 선택하든 그림 같은 풍경은 그대로이며, 결국은 다시 동쪽 강변에서 합류하게 됩니다. 비공식 서쪽 길을 선택하더라도 인증 스탬프는 놓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거거골 쉼터

공식 동쪽 강변 경로를 따라 계속 가봅시다.

다시 섬진강을 건너면 나무 그늘이 드리운 자전거길이 이어집니다. 완만한 언덕을 오르내리며, 옛 목재 롤러코스터처럼 부드럽게 굽이치는 구간입니다.

약 4킬로미터쯤 가면 커다란 도깨비 조형물이 세워진 쉼터가 나타납니다.

이곳은 거거골 쉼터(지도)로, 근처에는 ‘전동 전설 이야기’라는 표지판이 있습니다. 이는 인근 호곡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역 설화를 담고 있습니다.

이야기에 따르면, 조선 초기에 마춘목이라는 장군이 노모와 함께 유배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추운 겨울, 어머니가 싱싱한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셨지만, 장군은 마을에 나가면 발각될까 걱정되어 망설였습니다.

그때 신비한 빛이 그를 강가로 인도했고, 그곳에서 얼음에 난 구멍을 발견했습니다. 이를 하늘의 뜻이라 여긴 장군은 그곳에서 낚시를 했고, 결국 어머니의 식사를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그 후로도 그는 늘 그 자리에서 낚시를 했고, 매번 고기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약 200년 전까지만 해도 그 자리에서는 여전히 물고기를 잡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 얼음 구멍의 흔적은 사라졌습니다.

한옥 카페

푸르른 녹음으로 뒤덮인 완만한 언덕길을 따라 계속 페달을 밟습니다. 아래로는 섬진강이 속삭이듯 흘러갑니다.

약 2킬로미터쯤 가면 숲길이 열리며 전통 한옥 건물이 모여 있는 곳이 나타납니다.

이곳은 두가헌(지도)이라 불리며, 카페이자 갤러리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12년 한국한옥대상 수상작으로, 전통 한옥의 소박한 미와 현대적 편안함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입니다. 화단, 돌담, 옹기들이 마당을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 카페에서는 커피, 전통차, 계절 음료, 그리고 수제 빙수를 포함한 디저트를 제공합니다. 특히 이 빙수가 시그니처 메뉴입니다. 갤러리에서는 다기 전시가 정기적으로 열립니다.

또 1킬로미터 정도 더 나아가면, 커다란 아치형 케이블로 떠받쳐진 섬진강 현수교가 눈앞에 펼쳐집니다. 섬진강 자전거길의 또 다른 명소입니다.

섬진강천문대

계속해서 페달을 밟습니다. 섬진강 현수교 아래를 지나면 이내 강가를 따라 이어진 2차선 도로(도로 뷰)에 진입하게 됩니다. 자전거 전용 차선은 없지만 차량 통행이 거의 없어 비교적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늦은 시간에 달린다면 전조등과 후미등을 꼭 켜 주세요.

다리를 지나 약 100미터쯤 가면 대중에게도 개방된 곡성섬진강천문대(지도)가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천문대는 빛 공해를 피하기 위해 산 정상에 세워지는 반면, 이곳은 평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변은 작은 마을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빛 간섭을 줄이기 위해 천문대와 지역 주민들은 가로등에 차광막을 설치하고, 관측 시간에는 운전자들에게 전조등을 낮춰 달라고 요청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강변 도로를 따라 계속 나아갑니다. 도로변에는 봄이 되면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분홍과 하얀 터널을 이루는 가로수들이 줄지어 있습니다.

이 경치 좋은 구간은 전라선 철도와도 나란히 이어지며, 강가에는 시골 정취를 고스란히 담은 펜션들(지도)이 드문드문 자리 잡고 있어 여유로운 분위기를 더해줍니다.

압록 마을

약 4킬로미터를 더 달리면 예성교(지도)에 도달합니다. 하루가 저물고 휴식이 필요하다면, 이 다리를 건너 조용한 강굽이에 자리한 작은 마을 압록리(지도)로 들어가 보세요. 이곳은 보성강(지도)이 섬진강과 만나는 지점으로, 식당(지도)과 숙소(지도) 몇 곳이 있어 쉬어가기 좋습니다.

이 작은 마을이 제공하는 몇 가지 볼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압록역(지도)은 전라선에 위치한 작은 벽돌역으로, 1936년에 개통되었습니다. 여객 운행은 2008년에 중단되었지만, 깔끔한 승강장과 전통 간판은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한국 증기기관차 시대의 엽서 같은 풍경을 전합니다. 영화 애호가라면 선로 옆에 홀로 서 있는 소나무를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1990년대 인기 드라마 모래시계의 클라이맥스 장면이 이곳에서 촬영되었습니다.
  • 길을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폐교된 초등학교를 개조한 압록상상스쿨(지도)이 있습니다. 이곳은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상상 캠퍼스’로, 3층 건물 내부에는 실내 놀이터와 카페가 있고, 야외에는 워터파크, 짚라인 코스 등 다양한 체험 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보성강 건너편, 섬진강과 만나는 남쪽 강변에는 압록유원지(지도)가 있습니다. 이곳의 강물은 느리고 얕아 물놀이, 낚시, 패들링에 제격입니다. 여름 주말이면 강가가 텐트와 캠핑카로 북적이며 활기를 띱니다.

압록 마을에서 사성암까지

정겨운 강변 마을을 지나, 전설이 깃든 다리를 건너며 짧지만 인상 깊은 구간을 달립니다. 여정의 끝은 한국에서 가장 장엄한 산중 암자 중 하나인 사성암의 기슭입니다.

구례군

자, 여정을 계속해 봅시다. 압록 마을에서 출발해 섬진강 동쪽 강변을 따라 나무가 줄지어 선 도로를 달립니다.

지금 어디쯤일까요? 사실 섬진강 현수교를 지나면서부터 우리는 구례군(지도)에 들어선 것입니다. 이곳은 지리산(지도), 한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들어가는 관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구례의 역사는 6세기 화엄사(지도)의 창건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사찰에 있는 석탑과 금동 사리장엄구는 현재 국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조선 후기(1392~1897)에는 유학자들이 구례의 계곡으로 은거해 시를 짓고 성리학을 공부했습니다. 이 전통 덕분에 구례는 오늘날 “선비의 고장”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습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당시 구례 주민들도 봉기에 참여했으며, 그들이 쌓았던 산성의 흔적은 오늘날에도 도보로 찾아갈 수 있습니다.

구례는 특히 봄마다 열리는 산수유꽃축제로 유명합니다. 지리산 남쪽 자락 아래 마을마다 300만 송이의 노란 산수유꽃이 만개합니다. 식도락가들에게는 구수한 더덕 요리, 산에서 채취한 버섯, 산열매로 우린 약차 등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유곡 마을

섬진강 북쪽 강변의 2차선 도로를 따라 계속 페달을 밟아봅니다. 이 조용한 구간 역시 울창한 나무 그늘 아래로 이어지며, 한적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섬진강을 따라 흐르듯 달리다 보면, 주변엔 지리산 자락에서 뻗어 나온 산봉우리들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강변에서 내륙으로 이어지는 작은 시골길은 논밭과 외딴 농가로 이어지며, 운이 좋다면 자그마한 동굴(지도)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몇 킬로미터를 더 가면 유곡마을(지도)에 들어섭니다. 이 마을은 한때 계단식 논밭을 따라 돌로 쌓은 ‘다무락’ 담장이 많았던 것에서 유래해, 지역에서는 “다무락”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섬진강과 지리산 자락 사이에 자리한 이 농촌 마을은 구례에서 가장 경관이 아름다운 “슬로우 빌리지” 중 하나로 꼽힙니다.

18세기 지리학자 이중환은 그의 고전 『택리지』에서 이 지역을 조선 10대 명승지 중 하나로 선정했습니다.

오늘날 유곡 주민들은 그 명성을 이어가며 대봉감 과수원을 가꾸고, 봄이면 산수유꽃으로 노랗게 물든 언덕을 선보이며, 가을에는 산약초로 가득한 장터를 엽니다.

마을은 하촌, 중촌, 상촌으로 나뉘며, 이들 사이를 잇는 돌계단식 밭이 마을의 이름을 상징합니다.

지역 주민들은 몇천 원만 내면 손수 만든 전라도 가정식을 여행객에게 대접하기도 합니다.

자전거 여행객과 등산객을 위한 소박한 게스트하우스와 개조된 폐교 숙소도 운영 중이며, 감 열매 솎기, 황토 염색, 조선 선비의 흔적을 따라 강변길 걷기 같은 체험 프로그램도 즐길 수 있습니다.

구례구역

강을 따라 이어지는 얕은 계곡길을 달리며, 도로를 감싸는 푸른 나무들 사이로 미끄러지듯 이동합니다.

약 5킬로미터쯤 가면, 620미터 길이의 섬진대교(지도) 아래를 지나 신월리(지도)에 들어섭니다. 이곳은 유곡보다 조금 더 활기가 느껴지는 마을로, 몇 개의 마트(지도)도 자리해 있습니다.

이 마을의 중심지를 둘러보고 싶다면, 구례교(지도)를 건너보세요. 이 다리는 자전거길의 일부이기도 하며, 구례군과 지리산 국립공원의 주요 철도 관문인 구례구역(지도)으로 연결됩니다.

1936년 12월에 전라선 상에 개통된 이 작은 시골역은 과거에는 여객과 화물을 모두 다뤘고, 지역 특산물인 감과 산수유 제품도 이곳을 통해 출하되었습니다.

현재는 무궁화호와 ITX-새마을 열차가 정차하며, 등산객과 축제 방문객들이 구례와 지리산으로 향하는 주요 기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역 근처에는 식당들이 늘어서 있어(지도), 출출하다면 한 끼 해결하기 좋은 곳입니다.

이제 작은 황천천(지도)을 건너 섬진강 남쪽 강변을 따라 길을 이어가 봅니다.

1킬로미터도 채 지나지 않아 타원형 기둥이 인상적인 사장교가 나타납니다.

바로 두꺼비다리, 섬진강 자전거길의 또 하나의 주요 포인트로, 이 지역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자, 이제 좀 더 자세히 살펴봅시다.

사성암 인증센터

자전거길로 다시 올라서 북쪽으로 1킬로미터만 더 달리면, 강가에 자리한 주차장과 함께 빨간색 스탬프 부스가 보입니다. 이곳이 바로 사성암 인증센터(지도)로, 섬진강 자전거길의 다섯 번째 인증 도장 지점입니다.

출발점으로부터 92km
Google Maps Logo
Google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카카오 맵스
Saseongam certification center checkpoint stamp for Korea's Bicycle Certification system.

하지만 이 주차장은 단순한 쉼터가 아닙니다. 남쪽 끝을 잘 살펴보면 택시들이 여럿 대기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단돈 몇천 원이면 이 택시들이 여러분을 머리 위로 솟아오른 오산(지도) 정상까지 데려다줍니다. 그 꼭대기에는 섬진강 자전거길의 또 다른 하이라이트, 사성암이 자리해 있습니다.

(참고: 자전거로 직접 사성암까지 오를 수도 있습니다. 단, 총 3.1킬로미터 동안 해발 388미터를 오르는 코스로, 평균 경사도는 12.52%에 달하며 도로 폭도 좁은 산길이니 각오가 필요합니다 [길 찾기].)

87.3 km (Seomjingang Bike Path)
58.6%

전남 구례군 오산 정상에 위치한 사성암은 절벽에 자리한 천년 고찰로, 백제 시대(544년)에 고승 연기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초기에는 ‘오산암’(거북산 암자)이라 불렸으며, 이는 산의 형상이 마치 거북이가 쉬고 있는 모습과 닮았다는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사찰은 기암괴석과 어우러진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한국의 전통 불교문화와 자연미를 모두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사성암에서 남도대교까지

섬진강의 모래밭을 따라 자전거를 달려보세요. 봄이면 하얀 꽃잎이 흩날리는 나무들이 길을 따라 줄지어 있고, 수달을 기념하는 공원도 지나게 됩니다. 마지막에는 두 개의 도(道)를 잇는 이색적인 투톤 다리 위에 도달하게 됩니다.

구례읍

오산과 사성암 아래 주차장을 나서면, 시골 도로를 벗어나 본격적인 자전거 전용도로로 진입하게 됩니다. 섬진강 강변을 따라 굽이굽이 달리다 보면 문척교(지도)에 도달합니다.

잠시 쉬어가고 싶다면 이 다리를 건너 구례읍(지도)으로 들어가 보세요. 이곳은 구례군의 중심지이자 가장 번화한 마을입니다.

지리산(지도) 자락 아래, 서시천(지도)과 섬진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이 도시는 화엄사 같은 산사로 향하는 관문 역할을 하며, 매년 봄이면 산수유꽃축제가 열려 노란 산수유꽃으로 언덕이 뒤덮입니다.

구례읍에서 만날 수 있는 또 다른 즐길 거리들:

  • 전통시장(지도): 더덕, 산나물, 약초차 등 구례의 특산물을 만날 수 있습니다.
  • 구례공영버스터미널(지도): 도심 한가운데에 위치하며, 인근 도시들과의 시외버스 교통편을 제공합니다.
  • 식당(지도) 과 숙소(지도)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어, 자전거 여행자들이 머물기에 안성맞춤입니다.

오봉정사

섬진강 남쪽 강변을 따라 문척교(지도)를 지나 자전거를 타세요.

물가 옆으로 펼쳐진 길을 따라 문척마을(지도) 위를 아치형으로 지나가면, 월평교(지도)를 건너 파란 안내선이 표시된 자전거 전용 어깨 차선이 있는 왕복 2차선 시골 도로로 이어집니다(도로 뷰).

그늘진 나무 아래를 지나 강둑길을 따라 내려가다 보면, 작은 개천을 건너기 직전에 도로 굽이진 곳에 오봉정사(지도; 도로 뷰)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사당은 1915년 독립운동가 임현주(1858~1934)가 세운 것입니다. 그는 1905년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고문을 당하고 전신 마비가 되었습니다.

석방 후 그는 교사가 되어 오봉정사를 짓고, 동지였던 최익현의 사진을 내부에 모셨습니다. 1990년 대한민국은 그에게 건국훈장을 추서했습니다.

섬진강어류생태관

작은 마을을 지나 계속 가면, 난간으로 보호된 자전거 전용 차선이 도로 옆에 나타납니다. 시골 도로를 따라 페달을 밟으며 강 너머로 펼쳐지는 산 풍경을 감상하세요.

간문천(지도)을 가로지르는 간문교(지도)를 건너 내륙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작은 로터리(도로 뷰)를 지나 다시 왼쪽으로 급히 꺾어 강 쪽을 향해 직선 도로를 따라 내려갑니다(도로 뷰).

도로 끝에는 일부가 강철 기둥 위에 세워진 거대한 유리 건물이 보입니다. 이곳이 바로 섬진강어류생태관(지도)입니다.

2008년에 건립된 이 생태관은 섬진강의 민물고기와 서식지를 보호하고 생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주요 전시관은 세 개입니다:

  • 제1전시실 (하늘): 섬진강의 사계절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애니메이션과 디오라마로 소개합니다.
  • 제2전시실 (물): 섬진강에 서식하는 토종 어종을 살아있는 수족관으로 전시합니다.
  • 제3전시실 (땅): 환경 위협과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부대 시설로는 야외 연못, 수달 전시장, 생태 체험관, 야외 분수대 등이 있습니다.

섬진강생태공원

생태관 꼭대기까지 자전거를 타고 올라간 후, 다리 직전에 있는 자전거 길 분기점에서 오른쪽으로 접어드세요(도로 뷰).

지금 여러분은 섬진강수달생태공원(지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달리고 있습니다. 이 공원은 생태관을 둘러싸고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공원은 멸종위기종인 한국수달의 보전을 위해 조성되었습니다.

생태관을 지나 수백 미터쯤 가면 탁 트인 들판에 자리한 트리타워 전망대(지도)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야외 전망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개방되며, 공원과 주변 풍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파노라마 전망을 제공합니다.

벚꽃길

생태공원이 끝나는 지점에서 자전거 전용 도로도 함께 끝납니다. 이제 보호용 자전거 차선이나 어깨 차선이 없는 왕복 2차선 강변 도로로 다시 진입하세요(도로 뷰).

조용한 이 도로를 따라 계속 이동하세요. 위를 올려다보면 나무들이 빽빽한 그늘을 만들어 햇볕을 가려줍니다. 하지만 이 길의 진가는 봄에 드러납니다. 하얗고 분홍색 벚꽃이 가지마다 활짝 피어나면서 수많은 관람객을 끌어들이고, 때로는 관광 차량으로 도로가 막히기도 합니다.

이 도로 구간은 총 7킬로미터입니다(길 찾기). 거대한 하천산(지도)에 밀려 섬진강을 따라 구불구불 이어지는 이 길은 완만한 오르막과 내리막이 이어지는 곡선형 노선입니다.

중간에 마을은 없으며, 드문드문 농가 몇 채가 나타나고, 끝에 가까워질 무렵에는 펜션과 강가 카페 몇 곳이 보입니다.

남도대교 인증센터

벚꽃길이 끝나갈 무렵, 숲이 걷히고 풍경이 탁 트입니다. 섬진강은 너르게 퍼지며 곳곳에 습지가 드러납니다.

수로 위로 우뚝 솟은 투톤 다리가 보입니다—쌍아치가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는 그 다리가 바로 남도대교로, 섬진강 자전거길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다리를 건너기 전에, 김밥집 옆에 숨어 있는 작은 빨간색 스탬프 부스를 먼저 찾아보세요(도로 뷰). 이곳이 바로 남도대교 인증센터(지도)입니다.

자전거에서 내려 자전거여권을 꺼내고 도장을 찍으세요.

출발점으로부터 111km
Google Maps Logo
Google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카카오 맵스
Namdo Bridge certification center checkpoint stamp for Korea's Bicycle Certification system.

남도대교 건너편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새로운 도, 그리고 단 650미터 후에는 화개장터화개다원(길 찾기)이 여러분을 맞이합니다.

여정의 또 다른 하이라이트 두 곳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105.6 km (Seomjingang Bike Path)
70.9%

섬진강 자전거길 남단 인근에 위치한 화개장터와 인근의 차밭은 역사, 지역 특산물, 자연경관이 어우러진 명소입니다.

화개장터는 오래전부터 강을 따라 모인 사람들의 상업과 문화 교류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도 신선한 농산물, 수공예품, 전통차 등으로 활기를 띱니다.

시장 너머로 펼쳐진 화개차밭은 천 년 이상 이어져 온 하동의 대표적 문화자산으로, 한국 차 문화의 발상지로 불립니다.

남도대교에서 광양 매화마을까지

Choose between the east or west banks of the Seomjin River and cycle past a pair of “slow cities,” each offering quiet countryside views. End at a village known for its cherry blossoms and plum products.

동쪽일까, 서쪽일까?

남도대교는 섬진강 자전거길의 하이라이트일 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서 섬진강을 건널 수 있는 몇 안 되는 장소 중 하나입니다. 사실, 남도대교에서 남쪽으로 다음 다리인 섬진교(지도)까지는 20킬로미터 이상 떨어져 있습니다—이번 구간 전체보다도 긴 거리입니다.

그러니 출발하기 전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결정을 지금 내리세요. 서울과는 달리, 중간에 마음을 바꿔도 다시 강을 건널 다리는 당분간 없습니다.

동쪽 강변

동쪽 강변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동쪽 루트는 19번 국도(지도)을 따라 이어집니다. 이 도로는 왕복 4차선의 주요 도로이지만, 바깥쪽에 보호된 자전거 전용 차선이 마련되어 있어 차량과 분리된 상태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습니다(도로 뷰).

8킬로미터 정도 달리면, 자전거길은 그림 같은 계곡으로 내려갑니다(길 찾기).

그곳에는 전통적인 매력과 목가적인 풍경이 어우러진 슬로우 시티, 하동 악양마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천천히 살아가는 삶의 미학이 녹아 있는 이곳은 여정 중 한 폭의 풍경처럼 다가오는 쉼터가 되어줄 것입니다.

114 km (Seomjingang Bike Path)
76.5%

섬진강을 따라 산 세 개에 둘러싸이고 강으로 열린 비옥한 분지에 자리한 하동 악양마을은 2009년 대한민국 다섯 번째 슬로시티로 지정된 곳입니다.

이 마을은 전통과 자연을 보존하며 느린 삶을 지향하는 세계 슬로시티 운동의 일환으로, 생태와 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하동군 & 하동읍

하동 악양마을에서 출발해 국도 19번을 따라 10킬로미터 정도 더 달리면(길 찾기), 하동군(지도)의 중심지인 하동읍(지도)에 도착하게 됩니다.

이제 이곳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지리산과 섬진강 사이에 자리한 하동은 고대 가야와 신라 시대에 속했던 유서 깊은 지역입니다. 오랜 세월 동안 전통 차 문화와 유교 학문의 중심지로 자리해 왔습니다.

오늘날의 하동은 야생 녹차, 문학 유산, 그리고 쌍계사와 화개장터 같은 역사 명소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계절마다 피어나는 벚꽃길, 차(茶) 축제, 그리고 아름다운 레일바이크 코스 덕분에 하동은 슬로우 투어리즘과 문화적 깊이를 찾는 여행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는 곳입니다.

그렇다면 하동읍 자체는 어떤 모습일까요?

하동읍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

  • 수십 곳의 식당(지도)과 게스트하우스(지도)
  • 하동버스터미널(지도) — 서울과 인근 도시들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영 (시간표 참고)
  •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 섬진교(지도) — 이 다리를 통해 섬진강 서쪽 강변으로 다시 건널 수 있습니다.

서쪽 강변

공식 섬진강 자전거길을 따라가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남도대교를 건너지 말고, 섬진강 서쪽 강변에 그대로 남아 남쪽으로 주행하세요.

이 구간은 조용한 왕복 2차선 시골 도로를 따릅니다.

직접 도로 위를 달릴 수도 있고, 아니면 자전거 전용 차선이 마련된 넓은 인도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도로 뷰).

광양시

몇 킬로미터를 더 달리면, 섬진강 자전거길의 가장 남쪽 구간인 광양시(지도)에 진입하게 됩니다.

대한민국 남해안에 자리한 광양은 한때 백제의 영토였으며, 이후 신라에 의해 통일되었습니다.

이 도시는 석탑, 산성 유적, 그리고 유명 풍수지리사 도선국사와 관련된 사찰들을 통해 과거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작은 농어촌 마을이었던 광양은, 20세기 후반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설립으로 급속히 성장했습니다. 이 제철소는 현재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제철소입니다.

광양의 주요 관광지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 북쪽의 백운산(지도): 고찰과 등산로로 유명
  • 남쪽 해안: 군도와 작업 중인 항구들이 펼쳐지는 풍경

광양의 대표 음식으로는 장어구이, 재접(조개국), 그리고 광양식 불고기가 있습니다.

금천계곡

2킬로미터 더 계속 가면 조용히 졸졸 흐르는 시냇물(도로 뷰) 아래 나무 숲으로 길이 내려간다. 탁 트인 강변 자전거길을 따라 시원하게 내려가다가 도로로 다시 합류하라.

경사진 백운산 자락을 가르며 고요한 계곡을 형성하는 좁은 금천(지도)을 건너라. 나무가 우거진 경사면에 자리 잡은 금천계곡야영장(지도)은 고요함과 자연미로 인기가 많은 강변 캠핑장이다.

이 지역은 그늘진 산책로, 바위가 많은 시냇물, 그리고 경치 좋은 소풍 장소로 유명하다.

쉬고 싶은가? 시냇물을 지난 후, 나무 계단이 설치된 작은 숲 언덕(도로 뷰)을 찾아보라. 계단을 올라가면 나무들 사이에 평화롭게 자리 잡은 정자(지도)를 발견할 수 있다.

다압면

시골길을 따라 페달을 밟아라. 감나무가 스쳐 지나가면서 섬진강이 점점 넓어지고, 강 중앙에 넓게 펼쳐진 모래섬들이 드러난다.

7킬로미터 정도 지나면 차량 도로에서 벗어나 농민과 자전거 이용자가 함께 쓰는 여러 갈래의 길로 진입하라. 그늘지고 숲이 우거진 이 구간을 지나면 백운산 아래 계곡에 자리한 작은 마을 다압면(지도) 근처 강둑으로 나오게 된다. 마을에는 오래된 농가, 차밭, 조용한 산골 시냇물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몇 군데 식당은 있지만 모텔은 없다.

시골길을 따라 계속 가면 강변 자전거길과 자전거 전용차로가 있는 인도를 번갈아 이용하게 된다.

돌 조각상이 가득한 주차장이 인상적인 다온앤틱카페(지도)를 지나면, 강을 따라 굽이돌아 송정공원(지도)에 도착한다. 강변 정자에 앉아 넓은 섬진강이 산악 지형을 가로지르며 흐르는 모습을 감상하라.

매화마을 인증센터

잠깐의 휴식을 마친 후, 다시 자전거길에 올라라 — 이제는 보호 난간으로 차량 통행과 분리된 구간이다. 평탄한 강변 길을 따라 달리다 보면 다음 강변 마을인 매화마을에 도착하게 된다. 이곳은 섬진강 자전거길의 주요 명소 중 하나다.

매년 봄이면 이 작은 마을은 흰색과 분홍색 꽃으로 물들며, 계절의 풍경을 감상하려는 관광객들로 북적인다.

하지만 마을을 둘러보기 전에, 강가 옆에 있는 작은 빨간색 도장 부스를 찾아라(도로 뷰). 그곳이 바로 매화마을 인증센터(지도)이며, 일곱 번째 인증 도장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출발점으로부터 129km
Google Maps Logo
Google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카카오 맵스
Maehwa Village certification center checkpoint stamp for Korea's Bicycle Certification system.

광양 매화마을에서 배알섬 수변공원까지

섬진강 자전거길의 남쪽 구간으로 여정을 이어가라. 가는 길에는 도로변 휴게소와 해산물 식당이 즐비한 강변 데크길이 있어 잠시 쉬어가기 좋다. 여정의 끝은 일광욕과 갯벌 체험으로 유명한 섬에서 마무리된다.

수월정

매화(매화꽃)마을을 나서면 도로에서 벗어난 자전거길로 진입하게 된다.

100미터쯤 달리면 두꺼비 조각상이 모여 있는 수월정(지도)에 도착하며, 이곳에서는 주변 풍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수월정은 원래 1573년, 나주 목사였던 정설이 세운 강변 정자로, 수세기 동안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중에는 정철(1536~1594)도 있었으며, 그는 이 정자를 기려 「수월정가」라는 노래를 지었다.

근처에는 섬진강 기념비가 세워져 있으며, 이곳에는 두꺼비다리 전설이 전해진다.

설화에 따르면 1385년, 수천 마리의 두꺼비가 이곳에 모여 격렬하게 울어대자, 일본 침입군이 겁을 먹고 도망쳤다고 한다. 그때부터 이 강은 “두꺼비 나루”라는 뜻의 섬진(蟾津)강이라 불리게 되었다.

하동송림공원

자전거길로 다시 올라서서 자전거 전용차로가 있는 인도(도로 뷰)를 따라 도로로 합류하라. 강이 굽이치는 지점을 따라 돌면 강변 공원으로 내려가게 된다.

섬진교(지도) 아래를 지나며, 강 건너편에 위치한 하동송림공원(지도)이 눈에 들어온다. 이곳은 섬진강 백사장에 자라는 한국산 적송들이 보호되고 있는 숲이다.

1745년, 하동 현감 전천상이 강바람과 모래바람을 막기 위해 심은 이 숲은 현재 길이 2킬로미터 이상, 성숙한 소나무 약 900그루로 이루어져 있다.

나무 대부분은 비늘처럼 갈라진 두꺼운 껍질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마치 고대 갑옷을 연상케 한다. 이 숲은 국가지정 기념물로 보호되고 있다.

짧은 언덕을 올라 자전거·보행자용 다리와 경전선 철교 두 개 아래를 지나가라.

강이 휘도는 길을 따라 돌면 섬진강 유채꽃 단지(지도)가 나타난다. 매년 봄이면 이곳은 노란 유채꽃으로 활짝 피어난다.

이어서 섬진강대교(지도)의 불타는 듯한 붉은 아치 아래를 지나고, 다시 짧은 언덕을 올라 거북동터널(지도)을 통과하라.

맹고불고불길

평탄한 6.2킬로미터 구간에 진입하라. 이 길은 행정안전부 출신 고(故) 맹규 씨가 설계한 노선을 기리기 위해 맹고불고불길(지도)이라 명명되었다.

이 구간은 야생화가 늘어선 구불구불한 자전거길이 특징이며, 탁 트인 섬진강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고불길’이라는 이름은 한국어로 ‘굽이굽이’ 또는 ‘구불구불’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길 중간에는 섬진강별빛야영장(지도)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는 가족 캠핑장, 소형 MTB 코스, 인근 대숲 산책로 등이 마련되어 있다.

섬진강휴게소

습지 지대를 가로질러 달린 후 제방 위로 올라가면서 아름다운 길의 끝자락에 이른다.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데크길을 지나며 또 하나의 섬진강 다리(지도) 아래를 통과하게 된다 — 이번에는 남해고속도로(지도)로, 한국 남부 해안을 따라 뻗은 총 273킬로미터의 고속도로다.

고속도로 교각이 강 서쪽 제방에 닿는 지점 근처에 건물 단지가 보일 것이다(도로 뷰). 그곳이 바로 섬진강휴게소(지도)로, 고속도로 양 방향 모두에 위치해 있으며 보행자용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

이곳은 운전자들에게 연료와 식사를 제공할 뿐 아니라, 광주와 부산 같은 남부 주요 도시를 오가는 고속버스의 중간 경유지 역할도 한다.

만약 섬진강 자전거길에서 버스를 타고 나가려 한다면, 이곳이 가장 좋은 지점이다. 자전거길 말미에 가까운 다른 버스터미널들은 거리도 멀고 차량 통행이 많은 도로를 지나야만 도달할 수 있다.

게다가 이 휴게소는 자전거길에서 불과 50미터 거리에 있어, 자전거 이용자들이 간편하게 식사를 하거나 편의점에서 보급품을 구매하기에 최적의 장소다.

망덕포구

페달을 계속 밟아라. 앞으로는 섬진강 하구 근처에 솟아 있는 산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 산들은 한국 남해안을 따라 이어진 군도에 속하며, 자전거 여정이 거의 끝나가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다.

곧 물 위로 튀어오르는 물고기 모양의 철제 조형물이 있는 데크 광장이 나타난다. 그곳이 무접섬광장(지도)이다. 이 광장은 한때 이 일대에 존재했던 모래톱 섬 ‘무접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광장을 지나면 망덕포구(지도)에 도착한다. 이 항구는 섬진강과 남해가 만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과거에는 구례와 곡성으로 이어지는 전략적 수운의 관문이었으나, 지금은 특히 가을철에 활기를 띠는 제철 해산물 중심지(지도)로 변모했다.

망덕포구는 ‘가을 전어의 본고장’으로 유명하며, 섬진강에서 잡히는 다양한 제철 어종도 이곳으로 모인다. 대표적으로 은어, 재첩, 뱀장어 치어 등이 있다. 섬진강은 한국의 주요 하천 중 가장 깨끗한 물을 자랑한다.

문학적으로도 망덕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포구 바로 뒤편에는 윤동주유고보존가옥(지도)이 있다. 이 집은 일제강점기(1910~1945) 동안 일제가 억압하던 한국 문학 작품들을 숨겨 보존한 장소로, 윤동주의 대표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원고도 이곳에서 보호되었다.

늦여름부터 가을까지 망덕의 먹거리 골목에서는 광양 전어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에서는 문화 공연과 함께, 인증된 ‘광양 망덕 전어 맛집’에서 가을 전어 요리를 맛볼 수 있다.

망덕포구의 남단에는 별헤는다리(지도)가 있다. 이 하얀 아치형 보행자 전용 다리는 섬진강 하구를 가로질러 배알도(지도)에 닿는다.

배알도(또는 배알섬)는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섬으로, 배알도 수변공원의 중심이자 섬진강 자전거길의 마지막 하이라이트다.

149 m (Seomjingang Bike Path)
100%

섬진강과 남해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배알도 수변공원은 전남 광양의 태인도 북단과 배알도를 두 개의 보도교로 연결하여 조성된 정원형 휴식공간입니다.

배알도는 마치 망덕산을 향해 절하는 모습이라 하여 “절하는 섬”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자연과 어우러진 산책로와 전망대로 많은 이들이 찾는 명소입니다.

태인도

배알도는 배알도 수변공원의 전부가 아니며, 마지막 인증 도장 부스도 그곳에 있지 않다.

공원의 주요 구역에 도달하려면, 가파른 제방을 올라 태인대교(지도)를 만나야 한다. 다리 아래를 통과한 후, 우측(도로 뷰)으로 돌아 차량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달려라.

다리를 건너면 태인도(지도)에 도착한다. 이곳은 한때 한국 김 양식의 발상지로 알려졌으며, 섬의 동쪽 절반은 간척사업을 통해 광양국가산업단지의 일부로 변모했다.

산업화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태인도에는 여전히 작은 마을과 몇몇 명소가 남아 있다. 그중 하나인 삼봉산(지도; 222m)은 광양만, 포스코 광양제철소, 섬진강 하구의 풍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 명소다.

배알도 수변공원 인증센터

태인도에도 해안을 따라 도는 자전거길이 있지만, 섬에 도착하면 왼쪽(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배알도 수변공원의 중심부로 가라. 이곳에는 넓은 캠핑장, 물가 산책로, 그리고 완만하고 진흙이 깔린 해안선이 펼쳐져 있다.

그런데 마지막 인증 도장 부스는 어디에 있을까?

자전거에서 내려 산책로를 따라 걸어가면, 공원 동쪽 끝에 자리한 배알도 수변공원 인증센터(지도)를 찾을 수 있다.

출발점으로부터 149km
Google Maps Logo
Google
Link button to Kakao Maps directions.
카카오 맵스
Baealdo Waterfront Park certification center checkpoint stamp for Korea's Bicycle Certification system.

하지만 잠깐! 이 인증센터에는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기능이 있다.

공원으로 이어지는 넓은 보행로 방향으로 다시 걸어가 보면, 작은 관리소(도로 뷰)가 있다. 운영 시간(오전 9시 ~ 오후 5시)에는 이곳에서 직원이 자전거 여권을 판매하고, 공식 인증 도장을 찍어준다.

축하합니다! 섬진강 자전거길 완주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